안녕하세요
수원 우리사랑치과 김일연 원장입니다.
오늘은 어금니를 여러 번 신경치료를 했는데도 염증이 계속 재발되어
결국 발치하고 임플란트 하는 경우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50대 후반의 남성분이 어금니를 예전에 신경치료하고 금니로 씌웠는데
최근에 염증이 다시 생겨서 재신경치료해서 살려보고 싶다고
저의 블로그를 보시고 찾아주셨습니다..
먼저 입안의 모습을 보시면..
금니로 씌운 어금니가 볼 쪽으로 잇몸이 붓고 염증으로 고름이 조금씩 나오고 있습니다.
엑스레이 사진을 보시면...
뿌리 주변에 염증으로 인한 치조골 흡수가 조금 보이고 있습니다.
일단 기존 신경치료한 부위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진단해서
MTA를 이용한 재 신경치료를 시행해서 어금니를 살려보기로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어금니는 근관이 모양이 C형 근관으로 뿌리가 나누어진 것이 아니고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조금 어려운 근관 형태를 보이고 있었습니다..
그래도 모든 근관을 깨끗이 소독하고 MTA를 이용해서 근관을 잘 충전해 드렸습니다.
이렇게요.
다행히 염증이 모두 없어지고 통증이나 증상도 없어서
금니로 다시 씌워드렸습니다.
2년 정도 잘 쓰고 계셨는데 어느 날 다시 염증이 생긴 것 같다고 오셨습니다.
다시 예전과 똑같이 염증이 생겼습니다.
엑스레이를 찍어보니..
뿌리끝은 큰 염증 없이 잘 유지되고 있었습니다만
치주낭 측정 시 볼 쪽으로 아주 깊은 골이 발견되었습니다.
결국 진단 결과
근관- 치주 복합 병소로 판단되었고
재신경치료와 잇몸치료를 다시 시행하기로 하였습니다..
가끔은 뿌리주변으로 미세 크랙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c형 근관을 가진 어금니에서 치주 질환이 잘 생기는 이유를 한번 보겠습니다.
c형 근관을 가진 어금니의 뿌리는 혀쪽으로는 서로 붙어있지만
녹색 네모에서 보는 것처럼 볼 쪽으로는 분리되어 깊은 골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빨간 선으로 보이는 깊은 골로 근관의 세균이나 치아 주변의 치주 염증을 일으키는 세균이
들어가면 치료하기 어려운 병소를 만들게 됩니다.
좁고 깊은 골은 잇몸치료로도 청소하기 어려워서
자꾸 재발되고 결국 주변의 뼈가 녹아 치주낭이 깊어지게 됩니다.
이런 근관-치주 복합 병소는 치료가 어렵고
치료후에도 염증이 재발되어 발치를 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분도 잇몸치료와 또 한 번의 재 신경치료를 받았으나
몇 주 지나지 않아서 염증이 재발되어 안타깝지만
결국
발치를 하기로 하였습니다 ㅜㅜ
그리고 임플란트로 치료를 하기로 동의하셨습니다.
발치 후 2개월 후에 잇몸이 잘 아물었습니다.
이제 임플란트 치료를 위해서
파노라마 엑스레이와 치과용 ct를 이용해서 3차원적으로 치조골에 대한
진단을 합니다..
염증이 반복되었으나 다행히도 치조골의 흡수가 적어
뼈이식 없이 수술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정확한 위치와 깊이로 임플란트 식립을 하기 위해서
3d 구강 스캐너를 이용해서 입안을 스캔하고 ct와 병합해서
가상으로 임플란트 수술을 시뮬레이션하고 그 위치를
디지털 가이드 장치에 기록합니다..
이것이 일명 내비게이션 임플란트라고 하는
디지털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이라고
합니다..
디지털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블로그를 참조하세요^^
https://blog.naver.com/parisss/221632040874
디지털 가이드를 이용한 어금니 무절개(플랩리스) 임플란트 수술법- 내비게이션 임플란트 ; 수원
안녕하세요수원 우리사랑치과 김일연 원장입니다.오늘은 최근의 임플란트 트렌드인 디지털 가이드 임플...
blog.naver.com
자 이제 제가 직접 디자인한 디지털 가이드를 이용해서
수술을 해보겠습니다..
디지털 가이드 장치를 치아에 위치시킨 모습입니다.
장치가 잘 맞아야 계획했던 위치에 잘 심을 수 있습니다..
수술은 최소절개법을 이용해서 하였습니다.
잇몸 절개없이 잇몸을 뚫고 심는 무절개로도 할 수 있으나
무절개의 단점은 아까운 부착치은이 다 없어져 버린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조금의 부착치은이라도 아끼기 위해서
조금의 절개를 하고 임플란트 식립 후 부착치은을 볼 쪽으로
이동시켜 원래의 어금니가 갖고 있는 풍융한 잇몸 형태를 재현하고자
노력합니다.
그래야 임플란트 주변 잇몸이 건강해서 오래 쓸 수 있거든요..
임플란트의 수명에 아주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가
임플란트 주변의 부착치은의 건강도 입니다!!
수술 직후의 모습입니다.
볼 쪽으로 잇몸을 밀어서 조금 하얗게 보입니다.
제가 미리 계획했던 위치와 깊이로 정확하게 식립되었습니다.
2달 후 아문 모습을 볼까요?
이렇게 잘 아물었고요.
볼 쪽으로 건강한 잇몸이 다시 생겼습니다..
이제 임플란트 크라운을 만들기 위해서 본을 떠야 하는데요..
요즘 저희 치과는 디지털로 제작하기 때문에
본도 3d 구강 스캐너를 이용해서 입안을 스캔합니다..
이렇게 하얀 스캔바디를 끼우고 스캔합니다..
스캔 한 데이터는 저희 디지털 치아 제작센터로 전송되고
거기서 치과기공사가 치과용 CAD를 이용해서 맞춤형 지대주와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디자인하고
CAM으로 밀링 해서 맞춤형 지대주와 임시치아 그리고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제작하게 됩니다..
잇몸 주변이 너무 깨끗하게 잘 아물었습니다..
여기에 밀링 한 맞춤형 지대주를 연결합니다..
지대주는 치아의 원래 모습과 유사한 형태로 제작합니다..
여기에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씌워주면 모든 치료가 끝나지만
저희 치과에서는 플라스틱 임시치아를 끼워서 1-2주 써보고
최종적으로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제작해드리고 있습니다..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임시치아의 모습입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오랫동안 기능을 안 했던 치아라
적응 기간이 필요하고
맞춤형 지대주와 임플란트 뿌리는 나사로 연결되어 있어
씹는 힘에 의해 조금 sinking 되면서 밀착되게 됩니다..
이렇게 임플란트 모든 구조물들이 안정되고 주변 잇몸들고
성숙이 되고 난 후
최종적으로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만들어 드립니다..
최종 모습입니다..
잇몸의 볼륨이 아주 풍융하게 되었고
부착치은도 잘 유지되고 있습니다.
최종 엑스레이를 보시면..
임플란트 뿌리의 위치와 깊이
맞춤형 지대주와 뿌리의 연결
지르코니아 크라운과 맞춤형 지대주간의 정밀도
그리고 위에서 보여드렸던 임플란트 주변의 건강한 부착치은
모두가 거의 완벽한 상태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주변의 뼈도 좋아서 아주 오래 잘 쓰시리라 생각됩니다^^
치료 전후의 모습을 보면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