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의 사진들은 모두 우리사랑치과에서 진료하면서
정성껏 직접 찍은 사진들입니다. 허락 없이 사진을 이용할 수 없으며
무단으로 도용하는 경우 법적인 책임을 질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수원 우리사랑치과 김일연 원장입니다.
오늘은 어금니 신경치료의 최신 경향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포스팅을 보시다가 궁금증이 있으시면 언제라도 댓글이나
저의 아래 메일로 문의해 주시면 가급적 빨리 답변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e-mail : welovedent@gmail.com
현재 감사하게도 저희 치과에 너무 많은 분들이 찾아주시고 계셔서 예약이 많이 밀려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어금니 신경치료는 무엇이며 왜 해야 할까요?
먼저 치아의 구조를 알아야 합니다.
어금니는 뼈에 심어져 있고 단단한 구조 속에 말랑한 신경조직이 들어있습니다.
이런 신경조직을 치수(Pulp)라고 하며 뼈에 있는 혈관으로부터 영양공급을 받으며
치아의 감각(차고 뜨거움, 통증)을 담당합니다.
이런 치수 조직이 충치나 크랙 등에 의해서 세균의 공격을 받으면
저항하다가 염증을 일으키는데
이런 염증을 치수염 (Pulpitis)라고 합니다.
이런 염증은 초기에는 치수의 생활력을 회복할 수 있는 단계인
가역성 치수염(Reversible Pulpitis) 인 상태가 되었다가
충치나 크랙이 심해서 치수의 생활력을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진행되면 비가역성 치수염(Irreversible Pulpitis) 단계가 되고
이 단계가 되면 극심한 통증으로 밤에 잠을 못 자는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그 심한 염증 단계가 지나면 치수가 괴사(Necrosis) 되는 상태가 됩니다.
이렇게 치수가 염증이 생기기 시작하고 진행돼서 괴사되는 동안
통증과 염증이 발생되면서 뿌리에 병소가 생기기 시작합니다.
따라서 이렇게 치아의 신경조직에 염증이 생겨 있는 경우
이 감염된 신경조직을 제거하여 염증을 없애는 치료를 신경치료(근관치료)라고 합니다.
보통 일반적인 신경치료를 하게 되는 경우는
1. 비가역성 치수염
2. 치수 괴사
이 두 가지 상황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일단 치수 괴사로 인한 일반적인 신경치료 먼저 보겠습니다.
아래 어금니를 지르코니아 크라운으로 치료했는데
최근에 씹을 때 아픈 느낌이 든다고 하셔서 오신 분입니다.
엑스레이 사진을 찍어보면
이렇게 까맣게 뿌리 주변에 염증으로 병소가 생긴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세균에 의해서 뼈가 녹는 것입니다.
표시해 드리면
노란 테두리 부분이 염증에 의한 뼈 흡수 부위입니다.
이 경우는 이미 어금니의 신경이 치수염 단계를 지나 치수 괴사까지 생긴 상태입니다.
즉 뿌리끝까지 모든 부위의 치수가 감염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모든 뿌리의 근관내부의 감염된 치수와 세균을 제거하고 소독해서
제거된 빈 근관을 신경대체 물질로 잘 채워줘야 더 이상의 염증 없이
병소가 치유되게 됩니다.
이제 치료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먼저 정확한 신경치료를 위해서는 기존의 크라운을 제거하고 치료하는 게
좋습니다.
이렇게 일반적인 크라운 치료는 치아 삭제량이 많아지고 결국 신경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저는 요즘 크라운 치료를 하게 되면 치아 삭제량이 적은 오버레이 크라운 치료를 하고 있습니다.
오버레이 크라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 포스팅을 참조해 주세요.
https://blog.naver.com/parisss/222779620755
https://blog.naver.com/parisss/223415080815
일단 신경치료를 위해서 마취 후 러버댐이라는 장치를 걸게 됩니다.
이렇게 러버댐이라는 장치로 입안의 세균으로부터 완전히 격리 시킨 후에
신경치료를 해야 입안의 세균에 의해서 재감염이 되지 않습니다.
신경치료 시 가장 핵심이 되는 과정입니다.
그리고 뿌리 안에 근관을 모두 찾아서 그 근관안에 괴사된 치수 조직과 세균을
깨끗이 제거하고 Naocl로 소독합니다.
이때 초음파 기계를 이용하면 훨씬 멸균 효과가 좋습니다.
(최근에는 전기 자극을 이용한 멸균 신경치료-플라젠-도 유행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두 번 정도의 세척과 소독을 마치고
빈 근관을 신경대체 물질로 빈틈없이 잘 밀폐해 줍니다.
최근에는 MTA sealer와 Gutta percha를 이용한
Sealer based obturation 이 대세입니다.
MTA만 충전하면 제거가 어려워 재신경치료가 안되지만
이 술식은 MTA의 밀폐력을 유지하면서 추후 재신경치료도 가능한 치료법입니다.
이렇게 뿌리 끝까지 잘 밀폐되었습니다.
이제 염증으로 녹았던 뼈들은 서서히 차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각도를 살짝 틀어서 엑스레이를 찍어보면
한 뿌리는 2개의 근관을 갖고 있는 것이 보입니다.
즉 이 어금니는 3개의 뿌리 4개의 근관을 갖고 있는 어금니입니다.
이런 근관을 놓치지 않고 모두 찾아서 치료하는 것이 신경치료 성공의 키입니다.
이 경우는 치수가 괴사가 되어 어쩔 수 없이 뿌리 끝까지
신경치료를 해야 하는 상태이었습니다.
그럼 깊은 충치가 있는 경우 모두 이렇게 뿌리 끝까지 신경치료를 해야 할까요?
---- 아닙니다. 이것이 오늘 말씀드리고자 하는 요즘 신경치료의 최신 경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자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최근에 이런 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
"최소 침습 신경치료"
최근에 모든 의료계의 핵심 트렌드는 최소 침습적인(Minimally invasive) 치료입니다.
예를 들어 예전에 위암 수술을 위해서 개복수술을 했다면
최근에는 구멍만 작게 뚫어서 복강경으로 수술하는 최소 침습 수술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치과계도 역시 비침습적이고 최소 침습으로 치료를 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신경치료 역시 최소한으로 꼭 필요한 부분까지만 치료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예전에 깊은 충치가 있다고 뿌리끝까지 모든 신경을 제거해서
신경치료하는 치료에서 현재는 신경이 살아 있다면 부분적으로 감염된 부분만
제거하는 치수 절단술 같은 치료를 하자는 것입니다.
논문 요약 사진을 보시죠
제가 정리해 보자면
충치가 깊은 경우 시리는 증상은 있지만 치수가 살아날 수 있는 가역성 치수염( Reversible pulpitis) 상태라면
1. 충치치료 시 신경이 노출되지 않는다면 그냥 충치치료만
충치치료 시 신경이 노출된다면 2. 노출된 부분만 MTA로 충전 후 충치치료 ; Direct pulp cap
3. 노출된 부분이 오염이 있다면 일부 치수를 제거하고 MTA로 충천하고 충치치 료 ; Partial pulptomy
충치가 진행이 많이 되어서 통증이 극심하고 뜨거운 물에 통증이 더 심해진다면 비가역성 치수염( Irriversible pulpitis)로 진단을 하고
4. 신경치료 시 치수에서 건강한 출혈이 된다면 지혈하고 치아머리 부분에 있는 신경을 모두 제거; Full pulpotomy
5. 신경치료 시 치수가 괴사되거나 고름 같은 상태가 보인다면 뿌리 끝까지 감염된 것으로 진단되어 통상적인 뿌리 끝까지 신경치료를 시행
여기서 감염된 신경조직을 일부만 제거하는 2,3,4번 신경치료를 Vital Pulp Therapy라고 하며
감염된 조직만 제거해서 나머지 건강한 치수의 생화력은 유지하고자 하는 신경치료입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신경이 살아있는 치아의 경우가 그 수명이 더 길기 때문입니다.
이런 치아 생활력을 유지하고자 하는 노력은
최근 전 세계적인 충치치료 트렌드인 BRD 개념에서 중요한 내용이기도 합니다.
BRD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블로그를 참조해 주세요.
https://blog.naver.com/parisss/223002239256
자 그럼 2,3,4 번의 케이스를 보면서 최근 신경치료의 경향인 Vital pulp Therapy(생활치 수치료)-VP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 Direct Pulp capping (직접 치수 복조)
어금니 부위가 깨져서 시리고 불편하다고 오셨습니다.
충치가 꽤 깊어 보입니다.
엑스레이 사진을 보시면
충치가 신경에 거의 가깝게 진행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충치와 신경을 표시해 드리면
노란색 충치, 빨간색 치수입니다.
충치를 제거하다 보면 치수가 노출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이런 경우 어떤 치료를 해야 좋을까요?
그냥 안전하게 신경치료를 하고 크라운 치료를 하면 될까요?
일반적으로 이런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치과 치료 트렌드는 최소침습 치료입니다.
충치 부위를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치수가 노출되지 않으면
충치치료로 마무리하고 치수가 노출되더라도 세균에 감염이 안된 건강한 상태이기 때문에
MTA로 Direct pulp capping만 하고 충치치료로 마무리하면 됩니다.
신경치료를 하고 크라운 치료를 했을 때와
부분 치수 절단술 (VPT)만 하고 레진을 충치치료를 했을 때
어떤 게 수명이 길까요?
당연히 최소 삭제로 치료한 경우가 오래 쓸 수 있습니다!
자 그럼 치료해 보겠습니다.
당연히 러버댐을 걸고 입안의 세균으로부터 치료 부위를 격리합니다.
그리고 충치 부위를 조심스럽게 제거합니다.
제거하다 보니 치수가 빨갛게 비쳐 보여서 일단 인접면 레진을 먼저 하기로 하였습니다.
인접면 레진을 먼저 한 이유는 세균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고
치수를 Naocl로 소독할 때 소독액이 세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충치 제거 부위에서 이렇게 치수가 노출되어 출혈이 보입니다.
이것은 세균 감염 없는 건강한 치수의 출혈이기 때문에 전부 신경치료를 할 필요는 없고
이 부위만 잘 소독하고 MTA로 충전하면 됩니다.
이렇게 MTA 잘 충전되었습니다.
나머지 부분은 레진 빌드업으로 마무리하였습니다.
이렇게 마무리되었습니다.
엑스레이 사진을 보시면.
노출된 신경부위만 일부 제거하고 소독 후 MTA로 충전된 것이 보입니다.
이 어금니는 아직 너무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과연 깊은 충치에 신경치료와 크라운 치료가 꼭 필요한 것인가?
고민해 봐야 할 문제입니다.
이번에 또 다른 VPT 케이스로 3번 Partial Pulpotomy 케이스입니다.
일부 치수를 제거하고 MTA로 충전하는 치료입니다.
골드 인레이로 충치치료를 했는데 그 이후로 어금니가 너무 아프다고
내원해 주셨습니다.
엑스레이 사진을 보시면 신경과 치료한 레진 사이에 거리가 가까울 걸 볼 수 있습니다.
표시해 드리면
빨간 선 신경과 하얀 레진 사이에 공간이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골드인레이는 씹을 때마다 신경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저는 요즘 치아와 붙지 않는 금을 충치치료에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 포스팅을 참조해 주세요..
https://blog.naver.com/parisss/223739484488
이 분은 일단 통증이 심해서 골드 인레이를 제거해 보기로 하였습니다.
골드인레이를 제거하자 마자 치수가 노출되어 출혈이 보입니다.
결국 골드인레이는 치아 와 접착이 되지 않고 씹을 때마다 치수를 자극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 경우 치수의 출혈이 심해 일부 치수를 포함해서 제거한 후 Partial pulpotomy
MTA로 충전 후 레진으로 마무리해드렸습니다.
엑스레이 사진을 보시면
머리 부분 신경의 일부가 제거되고 MTA로 메꾸어져 있는 것이 보입니다.
이 분 역시 VPT 치료 후 증상 없이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골드 인레이 후 아프다고 신경치료 후 크라운 치료를 해야 할까요?
이제 마지막으로 머리 부분 치수를 모두 제거하는 4.Full Pulpotomy 케이스를 보겠습니다.
이 분은 어금니 임플란트가 감염되어 빠져서 다시는 임플란트 수술을 하고 싶지 않다고 하셔서
어쩔 수 없이 브릿지로 치료하기 위해서 어금니를 삭제했던 케이스인데
화살표 부위의 큰 어금니가 많이 솟아 있던 경우라 교합면 삭제량이 많게 될 수밖에 없는 상태입니다.
치아 삭제 후 시간이 지나면서 치수에 염증이 생기고 결국 통증이 심해져서 Irrivesible pulpitis 비가역성 치수염으로 판단되어 신경치료를 하게 되었습니다.
러버댐을 설치하구요.
치수 부분을 제거해 보았습니다.
그러자 염증으로 충혈되었던 치수에서 출혈이 시작되었습니다.
일부의 치수의 제거만으로 안되는 케이스라 판단되어
머리 부분 모든 치수 부위를 제거하고 지켜보았습니다.
지혈도 잘 되어서 다행히 뿌리까지는 감염이 진행되지 않았다고 판단되어
머리 부분의 치수를 모두 제거하는 Full Pulpotomy 후
MTA로 충전하고.
레진으로 메꾸어 주었습니다
엑스레이 사진을 보시면...
이렇게 머리 부분의 치수가 제거되고 MTA로 잘 충전된 것이 보입니다.
이 분도 현재 브릿지로 치료가 마무리되어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기까지가 생활치수치료 (Vital Pulp Therapy ;VPT)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왜 이렇게 치수를 부분적으로 절단해서 뿌리 쪽 치수의 생활력을 유지하려고 노력할까요?
- 앞에서도 설명했듯이 치아의 치수 생활력이 조금이라도 있는 치아가 전체 뿌리까지 신경치료한 치아보다 수명이 더 깁니다.
- 뿌리 쪽으로 갈수록 근관의 형태가 복잡해서 신경치료 실패 확률이 높아집니다. 뿌리 신경이 살아 있다면 굳이 어렵고 복잡한 부위에 신경치료를 잘 하려고 노력할 필요가 없습니다.
뿌리 쪽으로 갈수록 근관과 치수의 형태가 복잡해서 모든 치수를 잘 제거하고 잘 밀폐하는 것은
너무 어렵습니다.
따라서 뿌리까지 감염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전체 신경치료를 시행하면 좋겠습니다.
이렇게 장점이 많은 Vital pulp Therapy 도 단점이 있습니다.
치수가 어느 정도 감염되었는지 정확하게 진단하기 어려운 경우는
감염된 치수를 제거하고 MTA로 충전하고 치료를 마무리하였는데
세균이 남아 있어 결국 치수가 괴사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는 추후 전체 신경치료를 해야 합니다.
이 점 잘 인지하시고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신경치료를 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염증이 생겨
재신경치료 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금니 재신경치료에 대한 내용은 다음 포스팅을 참조해 주세요.
https://blog.naver.com/parisss/223229997336